반응형 전체 글20 국민 소득의 처분과 창출 및 균형 소득 국민소득은 순환의 생산측면 또는 분배 측면이나 지출 측면에서 모두 동일하게 측정됩니다. 생산 혹은 분배 측면에서 파악된 국민소득과 지출측면에서 파악된 국민소득의 구성을 살펴보고, 어떠한 조건에서 소득순환의 균형이 달성되는지 알아보겟습니다. 국민소득의 처분로빈슨 크루소 개방경제어떤 무인도의 로빈슨 크루소는 크루소주식회사와 정부를 만들어 하루는 도토리를 생산하 고 다음 날은 소비자로 생활합니다. 그 다음 날은 정부에서 공무원으로 일합니다. 크루소정부는 조세를 거두어 상품을 구매하고 로빈슨 공무원에게 월급을 주며 퇴직할 때 연금을 지불합니다. 또한 크루소주식회사는 생산한 도토리의 일부를 다른 무인도에 살고 있는 프라이데이가 생 산한 물고기와 교역을 합니다.로빈슨은 소비자로서 자신의 소득 중 일부를 저축하고 나.. 2024. 7. 9. 국민소득의 순환: 누출과 주입, 저축과 투자, 조세 경제 내의 모든 사람이 벌어들인 소득을 국민소득 혹은 국내총생산(GDP)이라고 합니다. 국내총생산은 경제 내 모든 사람들의 총소득과 그 경제 내에서 생산된 모든 생산물(재 화와 서비스)에 대한 총지출이라는 두 측면을 동시에 보여준다. 이것은 경제전체로 볼 때 총소득과 총지출은 항상 같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대니엘 디포의 소설 「로빈슨 크루 소」를 비유로 해서 단순한 경제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니다. 로빈슨이 크루소 주식회사를 만들어 프라이데이에게 도토리를 줍게 하고 그 대가로 1만 원을 주고 도토리를 2만 원에 판매한다. 로빈슨은 1만원 지출하고 1만원의 이윤을 얻는 데, 크루소 주식회사의 주주인 프라이데이에게 이윤을 배당한다. 프라이데이는 1만원 임금소득과 1만원 배당이윤을 벌고 도토리구입을 위해 2만.. 2024. 7. 8. 거시경제학의 등장:고전학파 대공황 케인즈 혁명 거시경제학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역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전학파의 보이지 않는 손고전학파의 태두인 애덤스미스(A, Smith)는 시장의 자동조절기구를 신봉했습니다. 시장의 가격체계의 '보이지 않는 손(invisible hand)'을 통해 수요와 공급은 자동적으로 조절되 어 균형에 이른다. 따라서 정부는 시장에 개입할 필요가 없이 단지 외부의 침입이나. 국 가의 질서를 위한 최소한의 개입만 허용합니다. 또한 그는 개인의 이기심이 보이지 않는 손을 통해 공익으로 전환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이처럼 애덤 스미스에 의해 시작된 고전학파의 사상은 건전한 사회제도와 윤리관이 확립되어 있는 사회에서 모든 사람이 자신의 이기심에 따라 자유롭게 경쟁을 한다면, 시 장메커니즘의 '보이지 않는 손'을 통하여 .. 2024. 7. 8. 거시경제학의 기본 원리1, 원리2, 월리3, 원리4 거시경제 현상은 몇가지 공통적인 원리들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네가지 기본 원리들을 알아보겠습니다. 원리 1 한 나라의 생활수준은 그 나라의 생산성에 의해 결정세계에는 많은 나라가 있지만 각 나라들의 생활수준은 엄청나게 다릅니다. 한국의 1인 당 국민소득은 에티오피아의 1인당 국민소득보다 높습니다. 이러한 소득의 차이는 생활수 준의 차이로 그대로 나타납니다. 우리가 에티오피아 사람들보다 더 많은 자동차, 더 좋은 음식을 먹고, 더 오래 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무엇이 각 나라의 생활수준을 이처럼 다르게 만드는가? 경제학자의 대답 은 간단합니다. 한 나라의 생활수준은 생산성에 의해 결정됩니다. 생산성이란 한 사람이 한 시간 일해서 만들어낼 수 있는 재화와 서비스의 양을 말합니다. 생산성이 빠르게 증가하 면 .. 2024. 7. 8.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