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민 소득의 처분과 창출 및 균형 소득

by 퍼스트이코노미스트 2024. 7. 9.
반응형

국민소득은 순환의 생산측면 또는 분배 측면이나 지출 측면에서 모두 동일하게 측정됩니다. 생산 혹은 분배 측면에서 파악된 국민소득과 지출측면에서 파악된 국민소득의 구성을 살펴보고, 어떠한 조건에서 소득순환의 균형이 달성되는지 알아보겟습니다. 

국민 소득의 처분과 창출 및 균형 소득
국민 소득의 처분과 창출 및 균형 소득

국민소득의 처분

로빈슨 크루소 개방경제

어떤 무인도의 로빈슨 크루소는 크루소주식회사와 정부를 만들어 하루는 도토리를 생산하 고 다음 날은 소비자로 생활합니다. 그 다음 날은 정부에서 공무원으로 일합니다. 크루소정부는 조세를 거두어 상품을 구매하고 로빈슨 공무원에게 월급을 주며 퇴직할 때 연금을 지불합니다. 또한 크루소주식회사는 생산한 도토리의 일부를 다른 무인도에 살고 있는 프라이데이가 생 산한 물고기와 교역을 합니다.

로빈슨은 소비자로서 자신의 소득 중 일부를 저축하고 나머지를 소비합니다. 크루소 주식회사는 생산된 도토리의 일부를 미래의 확대생산을 위해 남겨둡니다. 또한 크루소정부는 로빈슨과 크루소 주식회사로부터 조세를 거두어 상품을 구매하고 로빈슨 공무원에게 월급을 지불하며 퇴직할 때 연금을 지급합니다. 이에 더하여 크루소주식회사는 생산한 도토리의 일부를 수출하고 프라이데이 가 생산한 물고기의 일부를 수입합니다.

로빈스 크루소 개방경제를 통해본 국민소득의 처분

국민소득의 처분은 거시경제의 총공급과 일치합니다. '크루소 개방경제'에서 로빈슨은 크루소 주식회사와 정부를 만들고, 다른 무인도에 있는 프라이데이 경제와 무역을 합니다. 이러한 개방경제의 크루소 주식회사에서 도토리를 생산하고 로빈슨이 얻는 소득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처분됩니다. 로빈슨은 소득의 일부를 소비하고 그 나머지는 저축합니다. 또한 로빈슨은 크루소정부에 조세를 납부하고 프라이데이로부터 수입한 상품(물고기)에 대한 지출을 합니다. 따라서 로빈슨의 모든 지출을 더하면

생산된 소득(총공급)=소비 + 저축 + 조세 + 수입

 

이 식은 단순히 생산을 통해 얻은 소득이 처분되는 형태를 나열한 것이므로 항상 성립 합니다.  이것은 크루소경제의 총공급이 됩니다.

 

국민소득의 창출

국민소득의 창출은 생산된 상품에 대한 총수요에 달려있습니다. 수요가 없으면 생산이 이 루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생산되더라도 팔 수 없게 됩니다. 반대로 수요가 있으면 그 만큼 생산이 증가하고 소득이 창출됩니다. 이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 크루소 개방경제를 생각해 볼수 있습니다.  크루소 개방경제에서 생산 된 상품(도토리)은 로빈슨의 생활에 필요한 것이므로 로빈슨이 구매하여 소비지출합니다. 그러나 생산된 상품을 로빈슨이 모두 구입하는 것은 아닙니다. 크루소 주식회사는 일부 도토리를 미래의 확대생산을 위해 가져가고(이것을 투자행위로 볼 것), 크루소정부는 정부구입지출행위로서 조세수입으로 로빈슨 공무원에게 월급을 지불하며, 다른 무인도 의 프라이데이와 교역을 위해 일부 구입합니다. 앞으로 이전지출은 그 해 생산된 상품에 대한 대가가 아니므로 생산과 무관하여 이전지출을 정부지출에 포함하지 않거나 무시 할 것입니다. 이때 크루소 개방경제의 총수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총수요-소비지출+투자지출+정부지출+수출

 

이 식도 상품에 대한 수요의 여러 형태를 나열한 것이기 때문에 항상 성립합니다.

균형소득

국민소득의 순환이 일정하게 지속되려면 누출과 주입이 같거나 총수요와 총공급이 같아야 합니다. 이때의 소득을 균형소득이라고 합니다. 국민소득의 처분과 창출에서 총공급 과 총수요가 나오는 것을 보았다. 따라서 균형소득이 존재하려면 다음 조건이 성립되어 야 합니다. 즉,

총공급= 총수요

 

이 균형조건은 소득순환모형의 누출과 주입의 균형의 조건과 일치해야 한다는 것을 알아두어야 합니다(구성요소들을 보면 알 수 있음). 그런데 이 식은 항상 성립하는 것이 아닙니다. 소비를 제외하고는 총수요와 총공급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다르기 때문에 총공 급이 총수요보다 더 클 수도 작을 수도 있습니다. 총수요가 더 크면 생산이 증가하여 소득이 증가한다.

 

국민소득의 처분, 국민소득의 창출과 균형 소득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